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 펀드, 증권

[이재명 정부] 배당소득 분리과세와 수혜주

by Juzero 2025. 7. 4.
반응형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이재명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주식투자 수익에 대한 세금이 어떻게 바뀌는지, 그리고 이것이 어떤 주식 종목에 기회가 될지 알아두면 투자 전략 수립에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 살펴볼게요.

 

📌 배당소득 분리과세란?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말 그대로 배당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별도로 과세하는 제도입니다.

현재는 아래와 같이 과세됩니다:

  • 배당+이자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이하: 15.4% 분리과세 (지방세 포함)
  • 2,000만 원 초과: 종합소득과 합산하여 최고 49.5%까지 누진과세

즉, 세금을 과세하는 금액에서 '내 월급이나 사업소득'과 합치지 않는다는거죠!

소득이 높을수록 세율도 높은데, 합산되지 않고 분리되면 더 낮은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해외 주요국은 단일세율로 분리과세를 채택하고 있어 한국과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독일은 25%, 일본은 20.3%, 미국은 0~20% 등입니다.

 


📈 달라지는 세율 계산법

이번 개정안(이소영 의원안)은 배당성향 35% 이상 상장사에서 나오는 배당소득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율을 적용합니다:

 

  • 2,000만 원 이하: 14% (지방세 별도)
  • 2,000만 원 ~ 3억 원 이하: 22%
  • 3억 원 초과: 25%

즉, 최대주주의 세금 부담을 절반 수준으로 낮추고, 배당 확대를 유도하려는 취지입니다.

소액주주 입장에서도 배당금이 늘어나면 수익이 증가하고, 외국인 자금 유입도 기대할 수 있어 전체 시장의 긍정적 흐름이 예상됩니다.

 

그럼 어떤 종목들이 수혜를 볼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 어떤 종목이 수혜를 입을까?

증권가에선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시행되면 배당성향이 높고,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은 지주사 중심으로 수혜가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5% 이상 배당성향 + 최대주주 지분 높은 종목:

 

출처: 머니투데이

  • 진양홀딩스
  • 세아베스틸지주
  • 아모레퍼시픽홀딩스
  • 휴온스글로벌
  • CJ
  • SK디스커버리

향후 배당성향을 높일 유인이 있는 지주사:

  • 코오롱
  • KISCO홀딩스
  • 한국앤컴퍼니
  • 대상홀딩스

이들 기업은 이미 배당 여력이 충분하거나 정책 수혜를 통해 배당 확대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단순히 세금 감면이 아니라 주식투자의 구조적 매력을 높여 장기투자를 유도하는 정책입니다. 배당 확대 → 주가 상승 → 자금 유입 → 세수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면 한국 주식시장 저평가(Korea Discount) 해소에도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 배당소득 분리과세 관련 FAQ

  • Q. 현재 배당소득에 얼마의 세금이 부과되나요?
    A. 2,000만 원 이하는 15.4%, 초과 시 최대 49.5%까지 누진과세됩니다.
  • Q. 분리과세가 시행되면 누구에게 유리한가요?
    A. 고배당을 원하는 장기 투자자, 소액주주, 그리고 기업의 최대주주까지 모두에게 긍정적입니다.
  • Q. 분리과세는 언제 시행되나요?
    A. 정부는 2025년 세제개편안에 포함해 빠르면 2026년부터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 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