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에세이13

위대한 개츠비 독후감, 에세이, 리뷰 청년의 빛과 어둠 위대한 개츠비를 읽은 후 공통적으로 ‘개츠비가 왜 위대하다는 거지?’ 라는 생각을 한다. 위대하다는 것은 업적이나 능력이 뛰어나고 훌륭하다는 뜻인데 위법적인 방법으로 부를 축적했고, 데이지라는 유부녀를 위해 거짓말하여 죽음에 이른 개츠비가 무엇이 뛰어나고 왜 훌륭한지 의문이 든다. 그러나 닉을 통해 개츠비를 위대하게 표현한 작가의 생애를 알게 된다면 이 작품을 더 깊으면서도 다른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작가인 피처 제럴드 또한 가난하다는 이유로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에게 거부와 배신을 당했다. 정신적 실패를 경험한 피처 제럴드가 성공하기 위해 노력했던 삶을 들여다보면 책 속의 개츠비와 많이 닮았다는 걸 알 수 있다. 사회적, 도덕적 잣대를 가지고 바라보았을 때 감히 위대하다고 말할 수.. 2022. 1. 8.
신화의 힘 에세이, 리뷰, 독후감 나에게 있어 천복은 지금 이 순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사는 것’ 캠벨이 말하는 천복이다. 캠벨이 신화 속의 천복을 통해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단지 자신이 행복을 느끼는 일을 좇으라는 것일까. 천복을 통해 행복한 삶을 이루라! 라는 고민을 하지 않아도 납득할 수 있는 지식을 알려주기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는 사람이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을 조셉 캠벨도 분명 알고 있겠지만 신화의 힘이란 책을 통해 천복의 어떤 의미를 전달하려는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고민 끝에 캠벨은 ‘신화의 힘’ 속 천복이란 내용을 통해 ‘각자 자신만의 천복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라는 숙제를 독자들에게 준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서는 천복을 ‘자신이 하고 싶은.. 2022. 1. 8.
한국 사회의 근대적 감성에 대하여 한국사회의 근대적 감성에 대하여 사람들은 감성이란 것이 흔히 개인이 지닌 인간의 본성이지 이념이나 사상과 달리 당시의 사회를 대표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회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감성을 표출할 때 이념이 되며 그 공동체 기조가 된다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근대(강화도조약~광복) 한국 사회에 일어난 각종 운동과 이데올로기, 대중문화와 예술 등을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 근대 한국인들이 가진 공통된 감성을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감정은 감성을 이루고, 감성은 사회와 관계되어 전체를 움직인다. 한국 근대 사회를 꿰뚫는 국민들의 대표적 감성 중 하나로서 ‘애한’을 말하고 싶다. 당시 우리나라의 현실은 말 그대로 참담하다. 일본은 한국의 물적, 인적 자원을 잔인할 정도로 수.. 2022. 1. 8.
빌리 엘리어트와 굿 윌 헌팅 에세이, 리뷰 스승 ‘교육이 한 인간을 양성하기 시작할 때의 방향이 훗날 그의 삶을 결정할 것이다.’ 개인이 받는 교육에 따라 그의 생활은 크게 차이가 난다. 나아가 교육을 하는 스승이 참되고 올바른 사람인지, 그릇된 사람인지에 따라 피교육자의 인생을 더욱 값지게 할 수도 있고 해칠 수도 있다. 스승은 제자의 고루함을 극복시켜주고 더 넓은 식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그만큼 인생에서 누군가에게 배운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빌리 엘리어트’와 ‘굿윌헌팅’ 두 영화에서 모두 주인공의 스승이 등장한다. 빌리에게 발레를 가르쳐주는 윌킨스 부인, 그리고 윌의 심리치료를 맡는 숀 교수. 두 스승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앞 문단에서 말한 것처럼 주인공들의 인생을 더욱 값지게 해주는 존재이다. 빌리는 발레에, 윌은 .. 2022. 1. 8.
붓다 브레인 에세이, 독후감, 리뷰 (세미나 수업) *대학교에서 세미나 수업때 작성했던 자료입니다. PDF파일을 붙혀넣어서 띄어쓰기가 다소 이상할 수 있습니다. 주체적 삶에 대한 솔직한 태도 −『붓다 브레인』을 읽고 나서− 의미 부여하기 고등학생 1학년 때다. 문득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모든 사물, 상황, 행동에는 분명히 의미가 있다. 그 의미를 찾아내서 내가 스스로 느끼고 배우는 것, 그게 바로 능력 아닐까?’ 그 후 이 생각을 지니면서 여러 사물들을 통해 배움을 느꼈다. 가령, 내 필통에 있는 초록색 펜을 보고 ‘많은 펜들 중에서도 이 초록색 펜만이 할 수 있 고, 이 펜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꼭 있겠지? 나도 내가 잘하는 일을 찾고, 누군가에 게는 아주 중요한 사람이 되어야겠다.’라는 식으로 배웠던 적이 있다. 사실 다른 사 람들이 이 말을 들으.. 2022. 1. 8.
침묵의 봄 리뷰, 독후감, 에세이 : 인류의 발전과 생태계의 보존은 양립 가능한가? (자연과 기술 과학 세미나 에세이) 머리말 생활하면서 자연의 존재를 느낄 때는 언제일까. 사람들은 지나가면서 가로수를 보았을 때, TV속에서 다채로운 단풍의 모습을 보았을 때, 혹은 곧 다가오는 차가운 겨울의 향기를 맡았을 때자 연이 와 닿는다고 느낀다. 자연은 우리가 생활하는 그 자체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자연의 풍요로움과 아늑함을 느끼기 위해 ‘일부러’ 찾아다닌다. 인간 또한 생태계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한 ‘종’일 뿐인데, 언제부터인지 인류는 자연과는 별개의 생물로서 자연 산물들을 경제적 가치로서 이용해왔다. 인간이 과학 기술을 오만하게 사용하여 생태계의 흐름을 바꾸어놓기 시작한 기점은 산업 혁명부터일 것이다. 방직 기계와 증기의 등장으로 사회의 부는 축적되었고, 시대는 급변하였다. 카를 마르크스가 분석했던 초기 산업주의는 대다수 .. 2022. 1. 8.